이슬비 Seulbi Lee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박사 수료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 석사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학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 비교문화연계전공(부전공) 학사




into the blue, 《Into the Blue》 (2021, 미학관)

가까웠지만 아무데도 없는 세계, 《Furry Ways》 (2022, 미학관) 

대화가 시작되는 자리, 《옆으로 나누는 대화》 (2022, 임시공간), 월간미술 6월호(449호)

문학적 회화와 그리기의 몸짓, 『Into the Blue』 (2022, Into the Blue)

가득 찬 플로우를 위한 플로어, 《Protos Indigenous》 (2022, 미학관)

다음은 이 열차의 종착역인 피클드 씨티, 피클드 씨티입니다., 《외연과 심연》 (2022, 인천아트플랫폼)  

충분히 어둡지 않은 밤, 《따뜻하게 얼리기》 (2022, 미학관)

Roses in The Hospital, 《목격담》 (2022, 미학관)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 아트페어의 부상과 그에 따른 과제, [Kiaf x KAMS x Frieze Seoul Talks] (2023, K-ARTMARKET)

아카이브에 내재한 원-폭력의 힘: 데리다의 '아카이브 열병'을 중심으로, 『미학예술학연구』 제70집 (2023.10), 한국미학예술학회 

분출하듯 폭발하고 사라지는, 《자기발화》 (2023, 미학관)

접신, 엑스터시, 샤머니즘의 주체성, 《수피 춤을 추자!(Let's Dance Sufi!)》 (2023, 문화비축기지T4)

불투명한 가상 세계, 합성된 생태계, 2023 경남예술창작센터 비평가 매칭

조각의 앵포르멜, 2023 경남예술창작센터 비평가 매칭

버즘나무의 수령(樹齡), 《버즘나무의 고사(枯死)》 (2023, 미학관)

Dead stock or Vintage, 2023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세라믹창작센터 비평가 매칭

마주한 시선의 교차점, 2024 서초문화재단 양재도서관 비평가 매칭 

이 사람을 보라(Ecce Homo), 《신인호 오프닝넘버》 (2024, 미학관)

The Pleasure in drawing, 《Forgotten Realm》 (2024, 전시공간)

아시아 × 여성 × 미술, 서로를 가로질러, [Kiaf x KAMS x Frieze Talks] (2024, K-ARTMARKET)

어긋나고 스러지는, 외침의 빗겨난 자리, 《MAY DAY MAY DAY MAY DAY》(2024, 복합문화공간111CM)

매일 꿈에서 깨어나 아침을 맞이하듯, 《검붉은 시멘트 사이로》 (2024, 예술공간 의식주)

푸른 멍이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배지인 : 그 모든 일련의 질량 없는 것들》 (2024, 소현문)

때론 관조 할 수 없는 그림이 있다, 《반도 엘레지- 레퀴엠》 (2024, 미학관)

컷(cut)!, 2024 연석산우송미술관 레지던시 비평가 매칭 



기금 수혜


2024 (재)경기문화재단 경기상상캠퍼스 ‘공간간공공간’ 사업

2024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작가미술장터 개설지원 사업

2024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지역전시활성화 지원 사업

20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창작산실 우수전시지원사업

2023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작가미술장터 개설 지원사업

20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민간전시공간지원사업(다년)

2022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작가미술장터 개설 지원사업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전시사전연구 지원사업

2021 (재)예술경영지원센터 미술주간 연계프로그램

2020 (재)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아트프로젝트 * 공동 기획